○ 김동연 지사 최초 개방형 보건환경연구원장 채용 ‘인혁신’이라더니 왜 중단됐나?

[경기도 세계타임즈=송민수 기자] 경기도의회 정경자 의원(국민의힘)은 12일 열린 제387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이명진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장을 상대로 “정치가 도민의 불안을 키웠다면, 행정은 그 불안을 바로잡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관련한 도민 불안 해소 과정에서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정경자 의원은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수산물 방사능 검사장비 확충 지시는 없었으며, 2011년 이후 일본산 식품 약 46만여 건 검사 중 기준치 초과 사례는 단 한 건도 없었다’고 밝혔다”며 “그렇다면 경기도는 어떠한가?”라고 질의했다.
이에 보건환경연구원장은 “기준치 초과 사례가 단 한 건도 없다”고 답변했고, 정경자 의원은 “그렇다면 이제는 도민들이 불안을 내려놓아도 되겠느냐”고 반문했다.
정경자 의원은 “안전은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이런 사안일수록 감정이 아니라 과학적으로 차분히 접근했어야 한다”며 “이제는 단순한 행정 성과가 아니라 도민의 체감 안심 수준을 데이터로 입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경자 의원은 “윤석열 정부 시절 ‘핵폐수’라며 불안을 자극하던 정치권이, 정권 집권 이후에는 침묵했다”며 “결국 이 사안은 과학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으로 이용된 문제였다”고 비판했다.
정경자 의원은 “당시 김동연 지사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30년 뒤 어떤 괴물을 만들지 모른다’며 강하게 비판했지만, 이제는 도지사로서 정치적 발언이 아닌 근거에 기반한 입장을 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치는 불안을 키웠고, 행정은 방치했다. 김동연 지사와 보건환경연구원이 이런 상황에서 중심을 잃지 않고 도민의 불안을 자극하기보다 진정시켰다면 얼마나 달랐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며 아쉬움을 전했다.
또한 정경자 의원은 “김동연 지사가 2023년 보건환경연구원장직을 공개모집 하며 당시 ‘파격 인사’를 강조했지만, 이번 인사는 그 기조를 잇지 못했다”며 “당시 북부센터장으로 재직하셨던 현 원장께서는 왜 그 시스템이 유지되지 못했다고 보는지 설명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던 것 같다”고 답변했다.
정경자 의원은 끝으로 “도민의 불안을 정치권이 이용할 때, 행정은 정치적 논란에 흔들리지 않고 도민의 안전을 지키는 중심 기관으로 서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부산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