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와 한국이민정책학회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이민정책학회가 주관한 이번 행사는 중앙정부의 이민정책 기조 변화에 발맞춰 도내 실정에 맞는 충남형 이민정책 추진 방향과 과제를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도·시군 관계 공무원과 학계, 관계기관 담당자, 시민단체, 도민 등 1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번 행사는 기조 강연 및 정책 소개, 개회식, 주제 발표, 전문가 토론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이날 포럼에선 김은영 법무부 사무관이 ‘지역기반 비자제도의 이해’를, 강동관 전 이민정책연구원장이 ‘우리나라 이민정책의 발전과 미래 전략’을, 임동진 한국이민정책학회장이 ‘선진국 지방 이민정책의 성과와 충남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을 주제로 각각 기조 강연을 펼쳤다.
아울러 도는 외국인(이민) 정책 및 추진 사업을 소개하고 시군, 관계기관 등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어진 주제 발표에선 △충남형 이민정책의 실태와 발전 방향 △충남도 지역특화형 비자제도 활성화 방안 △충남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장기 정착 유도 전략 도출 △충남의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외국인 근로자 유치 및 처우 개선 전략 △충남의 외국인주민 인권 보호 및 사회 통합 방안 모색 등의 발표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의 이민정책과 외국인주민 관련 현황 등을 살폈다.
전문가 토론은 김옥녀 숙명여대 교수가 좌장을 맡아 ‘충남 외국인 주민의 장기 정착 지원 및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을 주제로 광역·기초 지방정부 간 협력 강화, 산업·교육 분야 이민정책 연계, 지역 기반 정착 지원 확대 등 여러 의견을 나눴다.
김종수 도 인구전략국장은 “이번 포럼은 지방소멸 위기 극복의 핵심인 지역 맞춤형 이민정책의 초석을 다지는 중요한 자리였다”라며 “오늘 도출된 다양한 의견을 도의 정책에 적극 반영해 광역비자, 지역특화형 비자 등 비자제도 개선을 중앙에 건의하고 이주민 유치 및 장기 정착 유도 방안을 구체화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 기본계획을 확립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산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